제품안내

친환경 보급형 위험감지(산불) 시스템

제품의 설명

전기(220V)/인터넷 공사 없이 실외의 위험 지역(시설)에 설치하여 태양광(solar panel)으로 동작하면서 충격 감지 시 기울기/위치 정보와 사진, 문자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비교할 수 있는 저전력이동통신 기반(*) 보급형 소형 데이터 수집기와 관리(web) 솔루션

(*) LPWAN(저전력 광대역 이동통신. Low Power Wide Area Network)

문제점과 해결방안

문제점

  • LPWAN 이전 솔루션들은 공사비(전기/네트웍) 등 추가로 촘촘한 관찰망 설치하기에는 경제성 부족

해결방안

  • 저전력 소모 데이터 수집기 : 주기적 모드와 이벤트 모드 병행. 동작하지 않을 때는 슬립모드로 전환
  • 1개월 이상 충전되지 않을 경우 대비한 solar panel과 배터리 용량

개발 이유

공공의 문제 해결

지방 지자체의 실외 위험 장소/시설 예찰 강화 도구

  • 도시 집중화 가속으로 지방 지자체들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 급 상승으로 주민들의 생활 주변의 위험을 한정된 예산과 인원으로 직접 예찰하는 것은 현실적 어려움
  • 이동통신 제품으로 전국 어느 곳에나 즉시 설치/이동이 가능하여, 현장에 방문하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위험상황 발생을 알 수 있는 보급형 솔루션.
    별도의 관제센터 구축하지 않아도 되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사회적 편익

지역 면적(m2) 사방공사 소요 예산 신청제품
수령(안) 구매예산 연간이용료
우곡면 청룡사 주변 430 250 백만원 50 개당 100만원 개당 20만원
고령읍 장기리 위험사면 17,700 700 백만원
합계 22,000 950 백만원 50 백만원 10 백만원
100% 5.3% 1%

(*) 실증지역(고령군) 소요 예산 비교. 사방공사 예산 확보 지연.

기타 증빙

지적재산권

구분 등록번호 명칭
특허(등록) 10-1334718 이벤트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10-1413248 데이터암호화 장치 및 데이터 암호화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매체
10-2021-0069798 지능형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등록결정 ‘21.9.6)
저작권 (프로그램 등록) C-2017-024833 IoT Manager Platform

KC 인증 등

  • [ KC인증서(20210601) ]

  • [ H/W 신뢰성시험성적서(20210621) ]

  • [ 진동시험 성적서(20210406) ]

상표 출원, 포장 패키지

실증 현황(‘21.4월~)

기타 설명자료

센서를 통해 관측자에 결과값을 알려주는 반응시간

  • 충격센서는 always-on(1 ㎂ 이하). 충격 감지 시 사진 촬영하고 다른 센서값들과 서버에 전송/분석 후 web 반영 및 사진(MMS) 전송까지 1분 이내.

위급상황 발생이 알람발생 평균시간은 어떻게 됩니까?

  • 이벤트 모드 기본 설정은 1분 간격, 3회 정보(사진) 수집이며, 설정값 변경 가능. (사진 및 데이터 전송 시 항상 배터리 잔량 확인 후 실행)

평균 소비전력

  • 0.5Wh(동작 시 700mA, 대기 시 0.4mA).

대부분의 제작을 외부에 위탁하고 있는 것 처럼 보이는데, 자체에서 처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밖에 없는지? 그럴 경우 사후 관리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협력업체 도산 시 사후관리가 불가능 해질 수 있는데, 그런 위험 관리 대책이 있는지?

  • 센서 선정, H/W Block diagram 및 F/W 개발은 직접 수행. 업력 20년 경과한 통신사 파워모듈 전문 공급사. 10여종의 데이터 수집기 협력 개발, 6종 KC 인증 획득. H/W 용역개발 결과물은 신청사 소유. 협업계약서 체결 후 협업승인신청서 제출함. 협력사 변경시 PCB 회로도/artwork 등 기술문서 활용/개발 경험.

설치된 제품의 고장 판단 기준 및 대응

  • 배터리 교체 : 사용자가 설정한 low battery 기준(4단계)에 따라 알람 발생. 배터리 교체 또는 태양광 충전 대기 선택.(사용자 매뉴얼 제공)
  • 기타 : low battery 알람 이외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 이상 센서 데이터 미전송시 네트웍 혹은 제품(센서) 이상으로 판별 -> 원격 및 현장 확인 -> 제품(센서) 교체

실제 제품이 동작(위험감지 통보 등)되어 발생되는 결과(사진 등) 제시